관세전쟁이야 익숙하다. 하지만 이번엔 좀 달랐다. 항구 얘기다.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땐, ‘이게 그렇게 큰일인가?’ 싶었다. 그런데 가만히 내용을 들여다보니 이건 단순한 세금 문제가 아니었다. 글로벌 공급망, 해운 구조, 조선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변화의 신호탄이었다.
무역 갈등이 바다 위로 옮겨간 지금, 중국 중심의 해운 체계에 균열이 생길 수도 있다. 그리고 그 틈새에서 한국 조선·해운업계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흐름은 단기 이벤트가 아니라, 중장기 투자 시야에서 꼭 주목해야 할 뉴스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10월부터 중국 해운사 또는 중국산 선박에 대해 t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미국의 조선·해운 산업을 보호하고, 중국의 글로벌 해운 지배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이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해운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부담으로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커졌다.
컨테이너선 외에도, 미국산 LNG 수출을 전제로 미국산 선박을 점진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미국 조선업 부활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관세의 확장판이 아니다. 글로벌 해운·조선 산업 구조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전략적 행보다.
중국에서 지어진 배로 미국에 물건을 실어 나르면, 한 척당 수억 원의 수수료를 물게 된다.
이는 곧 중국산 선박을 쓰는 것 자체가 비용 리스크가 되는 구조다.
중국산 선박 가격이 저렴해도, 입항 수수료가 붙으면 총비용에서 메리트가 사라진다.
미국은 LNG 수출 선박의 자국산 비중을 점진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예전엔 무역 전쟁이라고 하면 ‘세금 붙인다’, ‘수출 막는다’는 이미지였다. 그런데 지금은 그 전장이 항구, 선박, 물류로 옮겨지고 있다. 바다 위에서 벌어지는 경제 전쟁의 시대다.
이번 미국의 조치를 보며 드는 생각은 단순하다. “싸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중국 조선사의 저가 전략은 이제 미국에서 통하지 않는다. 비용 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라는 새로운 기준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이 변화의 틈에서 한국은 드물게 **‘양쪽에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전략적 선택지로 떠오른 나라’**가 됐다. 우리는 기술력도 있고, 정치적으로도 중립적인 입장에 있다.
이 기회, 잘 살려야 한다.
[경제공부] 주 4.5일제, 국민의힘과 민주당 공략의 다른점 비교 (1) | 2025.04.20 |
---|---|
[경제공부] AI 열풍에도 '관세 폭탄'…TSMC는 어떻게 웃고 있을까? (2) | 2025.04.20 |
[경제공부-부동산] 강남 초소형 아파트, 왜 신고가를 찍지?? (1) | 2025.04.19 |
[경제공부] 정부의 긴급처방 : 12.2조 추경?? (1) | 2025.04.19 |
[경제공부] “영리치의 투자법은 다르다” by 40대 이하 신흥 부자들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