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 뉴스를 훑다가 딱 멈췄다.
“MS, 애플 제치고 다시 시가총액 1위 등극.”
애플이 무너졌다고?
팀 쿡은 실적 발표만 하면 애플 주가는 올라가는 게 국룰 아니었나?
그런데 이번에는 달랐다. 실적은 좋은데 주가가 빠졌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이 뉴스는 단순히 ‘MS가 잘했다’가 아니다.
관세, 지정학, 주주 심리, 빅테크 전략의 교차점에서 나타난 반전 드라마였다.
그래서 오늘은 시총 1위 교체라는 단면을 통해
세계 경제의 흐름을 다시 정리해보고 싶었다.
2025년 5월 2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의 주가는 2.32% 상승하며 시가총액 3조2,350억 달러를 기록했고,
애플은 3.74% 하락하며 시가총액 3조840억 달러로 주저앉았다.
이날 애플 주가 하락의 원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복귀’ 가능성이었다.
애플은 중국·인도에서 수입하는 주요 제품에 최대 20% 관세를 물고 있고,
추가 관세 리스크가 현실화되면 향후 분기당 1조2천억 원 수준의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
애플 CEO 팀 쿡은 실적 발표에서
“전제 조건은 ‘추가 관세 없음’”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시장 반응은 냉정했다.
반면 MS는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주가 상승.
클라우드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33% 성장,
시장의 예상치를 초과하며 완전히 ‘다른 기류’를 보여줬다.
예전에는 실적이 좋으면 주가는 오른다고 배웠다.
하지만 요즘은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한 마디 정책 리스크’에 밀려버린다.
애플은 여전히 세계 최고 브랜드고, 제품은 잘 팔리고 있다.
그럼에도 ‘정치가 가리키는 방향’ 앞에서는 맥을 못 췄다.
반면 MS는 요란하지 않게
자사주 매입도, 제품 출하도, 관세 리스크도 적당히 관리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성장주 포지션을 지켜냈다.
그 차이가 시총 1위 자리로 나타난 거다.
그리고 나는 다시 생각하게 됐다.
지금은 숫자보다,
정책과 심리를 잘 읽는 기업이 살아남는 시대라는 걸.
[경제공부] “2064년에 연금이 바닥난다고?” — 내 몫이 사라지는 기분 (1) | 2025.05.09 |
---|---|
“주유소 앞 전광판, 다시 오른다” — 유류세 인하 끝나자마자 기름값 반등 시작 (0) | 2025.05.09 |
[경제공부] “110만 원 그냥 준다고?” — 근로·자녀장려금, 복지가 된 세금의 반전 (2) | 2025.05.07 |
[경제공부] “아이스크림 하나에 1,500원?” — 생활물가가 우리에게 주는 경고 (0) | 2025.05.07 |
[경제공부] 마인크래프트 무비 흥행이 보여준 ‘어른이 경제’의 진실 (2)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