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1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 – 누가 웃고, 누가 계산서를 치르나

☕ 요즘 부동산 관련 정책은 왜이런가?
요즘 들어 부동산 기사를 읽을 때면 좀 이상한 기분이 든다.
마치 세금으로 누군가의 자산을 ‘받쳐주는’ 듯한 착각.
심지어 최근엔 “1억으로 10억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정책이 나온다고 하니, 헛웃음이 나올 지경이다.
부동산이 오를 때마다 우리는 왜 자꾸 세금을 ‘구조조정’의 수단처럼 쓰게 되는 걸까.
물론, 집 없는 이들에게 기회를 준다는 말은 그럴싸하다.
하지만 이번에도 결국 웃는 쪽은 ‘집을 가진 사람’들이 아닐까?
이번 공부일기는 바로 그 질문에서 시작한다.
📰 지분형 주택금융, 대출 없는 내 집 마련?
지난 4월 4일, 한국은행과 한국금융연구원이 개최한 정책 컨퍼런스에서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소개되었다.
금융위원장, 한은 총재, 금감원장까지 금융 정책을 움직이는 핵심 인물들이 모두 참석한 자리였다.
핵심은 이렇다:
- 무주택자가 자기자본 10%만 있어도,
- 주택금융공사(이하 주금공)가 50% 지분을 투자하고,
- 나머지 40%는 대출로 조달해,
👉 1억으로 10억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게 만든다는 구조다.
더불어 주금공은 후순위 지분 투자자로, 집값이 하락하더라도 개인의 자본은 먼저 보호된다는 장치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겉보기엔 혁신, 안을 들여다보면 불편한 그림자

이 제도는 분명 표면적으로는 ‘자산 양극화 해소’와 ‘내 집 마련 기회 확대’를 노린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구조적으로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은 의문들이 고개를 든다:
- 왜 세금으로 집값을 떠받치나?
주금공이 투자한다는 말은, 결국 국민 세금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집을 가진 사람들의 자산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공공자금이 동원되는 셈이다. - 시장 논리에 대한 과도한 개입 아닌가?
가격이 오르면 이익은 개인이 가져가고,
가격이 떨어지면 손실은 공공(세금)이 떠안는 구조는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기 딱 좋은 구조다. - ‘무주택자’라면 모두 대상인가? 아니면 특정 조건이 또 생기나?
이런 정책은 결국 선별과 배제를 낳는다. 그리고 그 기준은 언제나 기득권 중심으로 설계되기 십상이다.
📌 투자 인사이트 3가지 – ‘기회’보다 ‘우려’에 가까운 신호들
- 세금이 민간 자산시장에 유입될 때, 가격은 더 왜곡된다.
정부가 직접 시장 플레이어로 뛰어드는 순간, 가격은 더 오르고 더 견고해진다. 정책은 결과적으로 자산보유자들을 위한 안전판이 된다. - 레버리지 확대보다 자산 버블의 리스크가 더 커 보인다.
자기자본 10%로 10억 아파트를 산다는 건 레버리지 10배 상품이다. 이는 부동산 버블을 더 키우고, 향후 위기 시 폭발력을 더한다. - 장기적으로, ‘세금 중독형 시장’이 될 수 있다.
한 번 공공자금이 개입된 시장은, 향후에도 정책 없이는 유지되기 어렵다.
즉, 부동산 시장이 자생적인 회복력을 잃고 정부지원 없이는 버티지 못하는 구조가 될 가능성도 크다.

🤔 자산 가치 방어를 왜 우리 모두가 책임져야 하나?
나는 집이 없다.
그래서 이 제도를 보며 분명 ‘내 집 마련 기회’가 생기는 건 환영할 일이지만, 동시에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
왜 내가, 우리가,
기존에 이미 자산을 가진 이들의 부동산 가치를 세금으로 지켜줘야 하는가?
왜 실패한 부동산 정책의 끝은 언제나 공공이 책임지는 구조로 귀결되는가?
부동산 가격이 과열되고, 그에 대한 리스크는 공적 자금으로 떠안고,
또다시 가격은 올라간다.
이 구조 속에서 우리는 ‘집 없는 사람을 위한 정책’이라는 말에 속고 있는 것은 아닐까?
사실은 집 가진 사람의 자산을 보존하기 위한 설계는 아닐까?
🔍 지금 우리가 더 깊이 들여다봐야 할 것들
- 주금공이 투입하는 자금의 출처는 어디서 오는가?
(결국 국민 세금일 텐데, 과연 사용 목적이 정당한가?) - 지분형 상품의 회수 구조: 집값이 상승했을 때, 수익은 어떻게 배분되는가? (국가가 투자한 만큼 회수 가능한가?)
- 지분 보유자(국가)가 주거권을 제공함에도 받는 ‘사용료’는 적절한 수준인가? (너무 낮다면 또다시 왜곡된 지원책일 수도)
- 이 제도로 인해 실수요자가 아닌 투자수요가 다시 들끓을 가능성은 없는가?
(무제한 레버리지 사용 가능성과 가격 상한 없는 구조는 부작용 가능성 존재)
📝 세 줄 요약
- 지분형 주택금융은 ‘내 집 마련의 사다리’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세금으로 부동산 자산을 떠받치는 구조일 수 있다.
- 집값 하락 리스크를 공공이 떠안는 방식은 시장을 왜곡하고, 장기적으로 정책 의존형 부동산 시장을 고착화시킬 수 있다.
- 결국 ‘누구의 이익을 위한 정책인가?’라는 질문 앞에, 우리는 지금보다 더 냉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