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밤에 넷플릭스를 보다가 종종 유튜브로 흘러가곤 한다. 알고리즘이 추천한 영상 제목이 눈에 띄었다. “30분이면 뚝딱, 유령총에 떨고 있는 미국.” 미국 얘기겠지 싶었는데, 보고 나서 한동안 멍해졌다.
“총이 아니라 부품입니다. 우리는 나사를 팔았고, 소비자는 조립했을 뿐입니다.”
“15분 만에 조립 완료, 가격은 단돈 50만 원.”
이게 게임 이야기라면 웃으며 넘겼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건 현실이다. 프라모델처럼 조립하는 총기, ‘고스트 건(Ghost Gun)’이 미국 전역을 휩쓸고 있고, 그 중 일부는 살인사건에 실제 사용되었다.
경제 뉴스, 주식시장 이야기를 좋아하는 나지만, 이날은 ‘무기 시장’의 구조가 경제만큼 복잡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놀라운 건, 총기 자유화가 오히려 총기 회사 주가에 악영향을 준다는 역설이었다.
고스트 건은 조립식 비등록 총기다. 인터넷에서 부품을 주문해 자택에서 직접 조립하는 방식인데, 완성까지 15분이면 충분하다. 과거엔 ‘80% 미만 조립 상태’는 총기로 취급되지 않았고, 따라서 신원조회 없이도 구매가 가능했다.
이러한 허점을 파고든 불법 아닌 ‘합법 무기’가 미국 사회를 뒤흔들었다. 총기 사건 현장에서 회수된 총기 중 최대 50%가 유령총이었고, 추적도 되지 않는다.
2022년 바이든 행정부는 이 유령총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섰다. 일련번호 부착과 신원확인을 포함한 행정명령을 추진했고, 대법원도 5대 4로 이를 인정했다.
하지만 2025년 트럼프 행정부가 재등장하며 관련 규제 철회를 지시했고, 다시 혼란이 시작됐다. 동시에 놀라운 현상 하나가 발생했다. 총기 규제를 완화하면 총기 판매가 줄고, 총기 회사 주가도 떨어진다는 ‘트럼프 슬럼프’ 현상이 그것이다.
처음에는 그저 충격적인 범죄 수단으로만 보였던 고스트 건. 그런데 내용을 깊이 들여다보니, 이게 단지 범죄 도구가 아니라 심리, 소비, 정책, 정치, 투자가 얽힌 복잡한 생태계였다.
“규제되면 더 팔린다.”
경제학에서는 이를 ‘코브라 효과’라 부른다.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가 오히려 그 문제를 악화시키는 현상이다. 고스트 건 규제처럼, 총기 규제가 총기 판매를 촉진하는 상황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마치 투자시장에서도 유사한 일은 빈번하다. 강력한 재건축 규제 발표가 오히려 집값을 올리는 경우처럼 말이다. ‘이제 진짜 못 사겠다’는 두려움이 수요를 자극한다.
이걸 보며 생각한다.
심리란, 경제보다 더 복잡한 변수일지도 모른다고.
[경제공부] “아이스크림 하나에 1,500원?” — 생활물가가 우리에게 주는 경고 (0) | 2025.05.07 |
---|---|
[경제공부] 마인크래프트 무비 흥행이 보여준 ‘어른이 경제’의 진실 (2) | 2025.05.06 |
[경제공부] “연봉 3천으로 미국 공장 보내겠다고?” — 반도체 공룡들의 ‘글로벌 역설’ (1) | 2025.05.05 |
[경제공부] “한 끼에 50만 원?”—프리미엄 외식이 ‘계급’이 된 시대 (7) | 2025.05.05 |
[경제공부-부동산] “강남 아파트는 무리지만… 경매는 다르다?” — 기회인가 함정인가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