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만 해도 ‘원자력발전’이라는 단어는 정치적으로 너무 무거운 이미지였다.
오늘 기사에서 민주당이 원전 종사자들과 간담회를 연다는 소식을 접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의 탈원전 기조를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그들이, 이제는 "실사구시"와 "에너지 안보"를 강조하며 원전 산업 육성을 논의하겠다고 나섰다. 정말 방향을 바꾼 걸까? 아니면 전략적으로 메시지를 조정하는 걸까? 궁금증이 생겼다.
민주당은 4월 15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원자력 산업 종사자들과 간담회를 연다. 이 자리는 민주당의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와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가 공동 주최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석자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기술 등 실무 현장의 핵심 인력들이 포함된다. 이언주 위원장은 “원전은 좌우의 문제가 아니라, 실용과 과학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고, 황정아 의원은 SMR 기술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의 성장 동력화”를 선언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민주당은 탈원전 정책을 강하게 추진해왔다.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 강력한 행보를 보이며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후 상황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민주당은 ‘탈원전’이란 단어 자체보다는 **‘에너지 실용주의’**라는 이름으로 메시지를 바꾸려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환경에 관심이 많지만, 동시에 현실적인 에너지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원전은 위험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들어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었고, 탄소중립을 위해선 꼭 필요한 수단이라는 주장도 설득력 있게 들린다.
다만, 민주당이 이런 메시지를 내놓는 것을 보며 또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진짜로 원전을 육성하려는 걸까, 아니면 총선을 앞둔 이미지 조정일까? 정치적 메시지는 언제나 여러 겹의 해석이 필요한 법이다. 중요한 건 정책의 연속성과 일관성이다. 방향이 바뀌는 것은 좋지만, 그 방향이 제대로 실행되는지는 또 다른 문제니까.
[경제공부] “초봉 월 100만 원 인상?”…일본에서 벌어지는 인재 쟁탈전 (0) | 2025.04.15 |
---|---|
[경제공부] 美 ‘민감국가’ D-1… 한국 어떡하냐...?? (0) | 2025.04.15 |
"빵은 죄가 없다" – 9,900원 빵 뷔페가 던진 불편한 질문 (1) | 2025.04.14 |
[경제공부-부동산] 이재명의 부동산 정책의 방향성은 무엇일까 (1) | 2025.04.14 |
[경제공부] 카카오 비상장 자회사들이 은근 잘나가는데??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