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추경’이라는 단어를 들어도 딱히 관심이 가지 않았다. 뉴스에 잠깐 나왔다가 사라지는 이야기 중 하나쯤으로 여겼던 것 같다. 그런데 요즘은 다르다. 장보러 가는 길에 느껴지는 물가 부담, 거래처에서 들려오는 “요즘 진짜 어렵다”는 말, 주식 창을 열 때마다 느껴지는 내수 침체의 공기... 이런 것들이 합쳐지니, 정부가 어디에 얼마를 쓰겠다는 뉴스 하나에도 눈이 간다.
오늘은 그런 관심 속에서, 2025년 첫 추가경정예산(추경) 소식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제목은 “급한 불부터 끈다”였지만, 과연 그 불은 진짜 꺼졌을까? 그리고 불을 끄고 남은 잿더미는 누가 치울까?
정부는 4월 18일, 총 12조2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약 3년 만의 첫 추경이자,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추진되는 첫 추가경정예산이다.
이번 추경의 핵심 키워드는 ‘필수’와 ‘민생’으로 요약된다.
눈에 띄는 정책으로는 연매출 3억 원 이하 자영업자 311만 명에게 최대 50만 원의 공과금·사회보험료 ‘크레디트’ 지원이 있다. 중신용 자영업자에게는 6개월 무이자 카드도 제공되며, 카드사용액 증가분의 2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도 도입된다.
또한 수출 중소기업을 위한 관세 대응 바우처, 핵심 광물 비축, AI 인프라 확대 등 미래 산업 대응도 함께 추진된다.
이번 추경은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돈 풀기라기보단, 위기에 처한 특정 부문에 대한 ‘긴급 수혈’에 가깝다. 특히 영세 자영업자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을 정조준했다.
가장 중요한 맥락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이번 추경은 “경제 전체의 회복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최악의 고비를 넘기기 위한 긴급 지원”이라는 정부의 설명이 설득력을 갖는다. 실제로 성장률 기여도도 0.1%P 상승 효과에 그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문제는 이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느냐다.
이번 추경의 구성을 보며 드는 감정은 이중적이다. 한편으로는 참 다행이다. 정말 절박한 현장에 필요한 지원이 가는 것 같아 안심된다. 하지만 동시에 걱정도 크다. 국채 발행이 반복되면서 재정 건전성이 점점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게 끝이 아니라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찔끔 추경”이라며 6월 대선 이후 2차 추경까지 거론된다. 재정 투입이 이어지면 당장은 숨통이 트이겠지만, 장기적 균형은 흔들릴 수 있다.
그래서일까. 요즘처럼 “나라 재정도 가계부와 똑같다”는 말이 체감되는 시기도 드물다. 버는 건 늘 제자리인데, 쓰는 건 많아지는. 어쩌면 이 추경은 ‘긴급처방’으로 필요한 조치이지만, 앞으로의 재정 전략은 보다 세밀하고 긴 호흡의 설계가 필요해 보인다.
[경제공부] “관세를 피한 해운 전쟁?” – 美,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한국 조선·해운에 기회가 될까 (1) | 2025.04.19 |
---|---|
[경제공부-부동산] 강남 초소형 아파트, 왜 신고가를 찍지?? (1) | 2025.04.19 |
[경제공부] “영리치의 투자법은 다르다” by 40대 이하 신흥 부자들 (2) | 2025.04.19 |
[경제공부] “지금이 한국 주식 살 타이밍?” JP모건이 전한 신호 (2) | 2025.04.19 |
[경제공부] “라면이 황제주?” 삼양식품 7조 돌파, 그 너머를 보다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