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여름, 2025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0원으로 확정됐다는 뉴스를 봤을 때 나는 생각보다 덤덤했다.
그래, 결국 올 것이 왔구나—1988년 이후 처음으로 ‘최저임금 1만 원 시대’가 열린 것이다.
하지만 금세 떠오른 질문은 “그다음은?”이었다.
1만 원이라는 상징적 수치를 넘긴 지금, 한국의 최저임금은 어디로 향하게 될까?
그리고 그것은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누가 결정하느냐,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2026년 최저임금 심의가 이제 막 시작됐다. 그 배경에는 정치, 경제, 노동의 충돌과 조율이 숨어 있다.
그 복잡한 퍼즐을 하나씩 풀어보기로 했다.
오는 4월 22일, 최저임금위원회가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시작한다.
최저임금위는 사용자위원, 근로자위원, 공익위원 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되며, 법적 시한은 6월 29일이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7월 중순에 결정돼왔다.
올해 심의가 특별한 이유는 두 가지다.
정책 방향만큼이나, 그 배경과 시나리오도 매우 다르다.
최저임금을 둘러싼 공방은 단순히 ‘얼마 올릴 것인가’보다 더 근본적인 구조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
이번 심의에서 특히 중요해지는 건 두 가지 흐름이다:
결국 이 심의는 금액 결정 이상의, 노동 시장의 정의와 경계를 다시 그리는 작업이기도 하다.
최저임금이란 단어는 익숙하지만, 그 이면의 결정 과정은 여전히 낯설다.
이건 숫자가 아니라, 국가가 어떤 삶의 기준선을 설정하느냐의 문제다.
그래서 “최저임금 1만30원”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시급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사람을 어떻게 평가하고, 최소한의 삶을 어디에 두느냐에 대한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동시에, 이 숫자는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현실과도 연결된다.
‘누군가의 최저’가 ‘누군가의 한계’를 넘어서는 순간, 시장은 반응한다.
그 균형점을 어디에 찍을 것인가.
올해 최저임금 심의는 그 질문의 실험장이 될 것이다.
“5월 2일 쉬게 될까?”… 임시공휴일 그리고 황금연휴의 기로 (1) | 2025.04.23 |
---|---|
인턴 시절에도 돈 줘야 하나?…10년 후 날아온 '성과급 소송' (2) | 2025.04.22 |
[경제공부] 수도권 지하철 가격 인상, 어르신 지하철무임승차는 지속될 수 있을까? (1) | 2025.04.22 |
[경제공부]“회사 월급만으론 안 된다”…부업 전선에 나선 직장인들의 경제학 (4) | 2025.04.21 |
[경제공부] 상지건설, 최근 한달내 12배 넘게 뛰었지만...(ft. 정치테마주의 위험) (3)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