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반도체 뉴스가 연일 쏟아질 때, 진짜로 ‘놀라운 숫자’는 사실 흔치 않다. 그런데 이번엔 다르다.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7조 원 돌파라는 소식이 들려오자마자, 나도 모르게 눈이 휘둥그레졌다. “삼성전자를 이겼다고?”라는 반응은 나만의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단순한 분기 실적이 아니다. SK하이닉스가 지금 이룬 성과는 **산업 구조와 기업 서열의 ‘지각변동’**을 암시하는 사건이다. ‘국민 반도체’의 주인공은 삼성전자라는 공식에 익숙했던 우리에게, SK하이닉스는 ‘조용히, 그러나 단단하게’ 다음 시대의 주인공으로 올라서고 있다.
2025년 1분기, SK하이닉스는:
이번 성적은 단순히 좋은 실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메모리 산업 패권이 삼성에서 하이닉스로 이동 중임을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단연 **HBM(고대역폭 메모리)**이다. SK하이닉스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엔비디아에 HBM3E를 공급할 수 있는 기업으로, AI 반도체 경쟁의 중심축이 되어가고 있다.
지금 SK하이닉스를 움직이는 건 ‘일반 D램’이 아니라 **HBM (High Bandwidth Memory)**이다. 여러 층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기존 D램 대비 수십 배의 속도와 데이터 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이 메모리는, 생성형 AI의 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단순한 ‘기술 개발’이 아니라 시장 지배력 재편이라는 전략적 결과를 낳고 있다. 단가가 높은 HBM의 판매 비중이 늘어나며, SK하이닉스는 더 적은 양으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됐다.
우리는 오랫동안 ‘삼성 반도체’를 산업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그건 단지 점유율이 아닌, 자존심이었고 상징이었다. 그런데 이제 그 그림자가 옅어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한때 부채 위기와 구조조정 논란까지 겪은 회사였다. 그런 기업이 AI 전환의 중심에서, 삼성전자를 넘어서는 그림은 꽤 상징적이다.
기술의 본질은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있다. 그리고 지금 그 변화는 SK하이닉스라는 ‘새로운 표준’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중요한 건 이 회사가 단기 실적을 넘어, 산업구조 자체를 리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제공부-부동산] “전세사기 공포가 바꾼 선택” – 일광신도시 임대주택에 몰린 사람들 (2) | 2025.04.25 |
---|---|
[경제공부] “1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 – 누가 웃고, 누가 계산서를 치르나 (0) | 2025.04.25 |
[경제공부] “국민 자격증이 장롱으로”… 공인중개사, 빙하기에 접어들다 (0) | 2025.04.24 |
[경제공부] “원전 수출, 누가 주도할까?”… 한전 vs 한수원, 10년 싸움의 끝이 다가온다 (0) | 2025.04.24 |
[경제공부] “Sell USA, 다시 등장한 트럼프 리스크”… 세계 자본이 미국을 떠나는 이유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