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오후 2시, 평소 같으면 회의 하나쯤 더 있거나, 밀린 업무 정리에 바쁠 시간이다. 그런데 최근 울산 중구청에서는 이 시간에 직원들이 짐을 싸고 퇴근한다고 한다. '주 4.5일 근무제'를 시범 시행 중이기 때문이다. 이 소식을 듣고 나는 문득 상상해봤다. “금요일 오후에 자유시간이 생긴다면 뭘 할까?” 피곤한 몸을 쉬일까, 취미 활동을 할까, 아니면 프리랜서 일이라도 하나 더 해볼까?
이제 이 상상이 전국적인 정책 안건이 되려는 분위기다. 국민의힘이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검토 중이라는 뉴스를 보면서, 단순히 “좋겠다”는 감상 너머로 경제적 효과, 현실 가능성, 그리고 투자자의 시각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지 곱씹어 보게 되었다.
국민의힘은 최근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주 4.5일 근무제 도입을 포함한 노동 정책 개편 방안을 대선 공약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장시간 근로국가였다. OECD 평균보다 높은 연간 근로시간, 낮은 노동생산성, 그리고 과로 문제는 고질적 이슈였다.
하지만 최근 10년간 분위기가 달라졌다.
이 모든 변화는 '일하는 방식의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일수록 “급여보다 시간”이라는 가치관을 더 선호하고, 기업도 인재 유치와 유지 측면에서 ‘유연한 근로제도’ 도입을 고민 중이다.
주 4.5일제는 이런 흐름 속에서 등장한 절충안이다. 근로시간 총량은 유지하면서도, 일의 분배와 삶의 균형을 동시에 겨냥한 접근이다.
그렇다면 이 정책, 단순히 듣기 좋은 구호로만 봐야 할까?
개인적으로 나는 ‘주 4.5일제’라는 아이디어 자체에는 긍정적이다. 일할 때 더 집중하고, 쉴 때 확실히 쉬는 구조는 지금의 흐름에도 맞고,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제도가 누구에게 어떻게 적용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 대기업, 공공기관, 사무직 중심의 정책이 되지 않을까? 제조업, 서비스업, 영세 자영업은 어떻게 이 흐름에 올라탈 수 있을까?
또 하나 걱정되는 건, ‘효율’이라는 이름으로 초과노동을 강요받는 상황이 생기진 않을까 하는 점이다.
“주 4.5일제니까 더 열심히 해!”가 되는 건 아닌지. 결국 워라밸은 제도보다는 문화가 먼저 바뀌어야 지켜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경제공부] "민주당도 원전?"…탈원전에서 실용으로, 바뀌는 에너지 전략 (0) | 2025.04.15 |
---|---|
[경제공부] 결혼 왜 안하냐? 남녀의 시각차이를 들어보자 (1) | 2025.04.15 |
[경제공부] 구글, 한국에서 6천억 벌고 세금은 240억? 비율로 따지면 직장인인 나보다 낮은데???? (2) | 2025.04.15 |
[경제공부] 아니 선생님... 포장인데 수수료를 받는다고요?? (ft.배민) (1) | 2025.04.14 |
[경제공부-부동산] 무주택자의 선택은 누구? - 이재명 vs 국민의 힘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