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서생의 경제견문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경제서생의 경제견문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7) N
    • 직장인의 경제공부 (104)
    • 생활경제 꿀팁 (2)
홈태그방명록
  • 직장인의 경제공부 104
  • 생활경제 꿀팁 2

검색 레이어

경제서생의 경제견문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4살부터 시작했는데 이럴 줄이야” – 사교육비, 정말 투자였을까?

    2025.04.17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 현대제철 성과급 2700만원 합의....

    2025.04.17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부동산] 노포차량기지 이제 탈바꿈하나??

    2025.04.17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 불길속의 철강공장 YK스틸, 이제 부산 품을 떠난다.

    2025.04.17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 일본여행객이 올리브영대신 마트에서 쌀을 사서 귀국한다

    2025.04.17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 트럼프발 관세폭탄, 명품 시장은 어떻게 될까?

    2025.04.16 by 경제서생

  • 6월초, 6일간 휴가 가볼까? 윤 전대통령이 준 선물..

    2025.04.16 by 경제서생

  • [경제공부] 다이소 연매출 4조원 육박??? 티끌모아 태산이네..

    2025.04.16 by 경제서생

“4살부터 시작했는데 이럴 줄이야” – 사교육비, 정말 투자였을까?

🧸 사교육비 청구서가 말해주는 것들며칠 전, 친구와 커피를 마시며 아이 교육 얘기를 나눴다. 네 살짜리 아들을 둔 그 친구는 요즘 ‘플레이 영어’에 ‘창의수학’, 거기다 ‘감정코칭 미술’까지 세 군데를 돌리고 있다. 한 달 사교육비가 100만 원이 넘는다는데, “애가 즐거워하니까”라는 말 뒤에는 ‘혹시 뒤처질까 봐’라는 불안이 뚝뚝 묻어났다. 그런데 그 대화 며칠 뒤, 교육부 발표 기사가 나를 멈칫하게 만들었다.“영유아 사교육, 효과 없다.”📰 효과도 없고, 오히려 자존감 낮춰… 충격적인 연구 결과교육부는 최근 ‘영유아기 사교육, 정말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내부 교육을 실시하며,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재평가를 시도했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기에 ..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7. 23:10

[경제공부] 현대제철 성과급 2700만원 합의....

🏭 당진제철소 멈춘 날, 철의 도시도 멈췄다몇달전 당진을 지나던 날, 우연히 현대제철 공장 앞을 지나게 됐다. 언제나 굉음을 내며 돌아가던 냉연 라인이 멈춰 있었다. 공장 밖엔 조용히 깃발을 든 사람들이 서 있었고, 그 옆엔 “7개월째 협상 중”이라는 현수막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다. 나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철을 만드는 사람들도, 사실은 무척 유연한 대화를 원했던 게 아닐까?’그리고 마침내 지난 15일, 현대제철 노사가 2024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을 타결지었다는 뉴스가 나왔다. 평균 성과금 2,700만 원, 기본급 인상 10만 원. 갈등은 길었지만, 협상의 끝은 결국 숫자 이상이었다.📰 기본급 450% + 1,050만 원… 마침표 찍은 임단협현대제철과 노조는 총 7개월간의 긴..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7. 19:43

[경제공부-부동산] 노포차량기지 이제 탈바꿈하나??

📰 차량기지 이전 타당성 확보… 개발 청신호부산시는 최근 '노포차량기지와 신평차량기지 이전' 사업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마쳤고, 그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이 1.077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의미로, 사업 추진의 명분이 마련된 셈이다. 총사업비는 약 9,184억 원, 노선 연장 거리 4.6km, 이전 대상은 차량기지 외에도 정거장 2곳이 포함된다.이전 대상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노포 인근이 유력하다. 특히 노포동 일대는 KTX 신설역, 터미널 연계 개발 등 북부산권 핵심 허브로 도약할 준비가 한창이다. 해당 개발의 전체 면적은 약 794만㎡, 사업비는 7조 2,348억 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수익성 지수(PI)도 1.32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 노포동이 왜..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7. 15:38

[경제공부] 불길속의 철강공장 YK스틸, 이제 부산 품을 떠난다.

🔥 소방차의 사이렌 속에서 스친 생각불이 난 건 새벽 무렵이었다. 뉴스 속에선 타오르는 연기와 시뻘건 화염, 그리고 철강 야적장 위로 바삐 움직이는 소방차들의 모습이 반복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다.”는 문장에 안도했지만, 화면 속 장면은 어딘가 불길했다. 단순한 화재 사고가 아니라, 부산 산업의 한 축이 흔들리는 신호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그도 그럴 것이 화재가 발생한 YK스틸은 얼마 전 ‘부산을 떠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기업이다. 1970년대 이후 사하구 구평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산의 철강 산업이 이제 점점 이탈하고 있다. 눈앞의 불은 꺼졌지만, 부산의 경제 생태계에는 또 하나의 공백이 남았다.🧯 29시간 만에 잡힌 불, 그리고 남겨진 흔적12일 밤 11시 35분경, 부산 사하구 구평동에 ..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7. 11:32

[경제공부] 일본여행객이 올리브영대신 마트에서 쌀을 사서 귀국한다

🛫 인천공항에서 마주친 장바구니 풍경며칠 전 인천공항에서 아주 특이한 장면을 목격했다. 일본어로 적힌 여행 가방 옆에 큼직한 쌀 포대가 놓여 있었고, 그 옆에서 일본인으로 보이는 중년 부부가 번갈아 가며 그 쌀 포대를 끌고 있었다. 처음엔 "왜 한국까지 와서 쌀을 사가지?" 싶었는데, 곧바로 떠오른 건 최근 뉴스에서 본 일본의 쌀값 급등이었다. 그날 이후 문득 궁금해졌다. 한국 쌀이 일본에서 인기 있는 수입 품목이 될 수 있을까?📰 한국에서 쌀 사가는 일본 관광객, SNS 후기로 화제최근 한 일본인 관광객이 SNS에 올린 후기가 화제다. 그는 “일본에서 쌀값이 너무 비싸 한국에서 사기로 했다”며, 직접 인천공항 검역소에 신고하고 오사카까지 쌀을 반입한 경험을 소개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쌀..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7. 07:28

[경제공부] 트럼프발 관세폭탄, 명품 시장은 어떻게 될까?

💼 ‘명품은 불황에도 끄떡없다’는 말, 정말일까?솔직히 말하면, 명품 브랜드는 나와 거리가 멀다.매장에서 루이비통 가방을 만져보거나, 에르메스 로고를 사진으로만 보는 ‘관람자’의 입장이다.하지만 경제 뉴스에서는 자주 등장한다. 특히 위기 때마다.왜일까? ‘불황에도 강한 산업’, 즉 경기 방어주처럼 여겨지는 명품 산업이기 때문이다.그런데 이번엔 조금 분위기가 다르다.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다시 시작되면서, 글로벌 명품 시장이 움찔하고 있다.어쩌면 이 산업도 더 이상 무풍지대는 아닐 수 있다는 신호처럼 보였다.📰 관세와 경기 둔화, 명품업계의 성장 브레이크2025년 4월 14일자 파이낸셜타임즈(FT) 보도에 따르면,글로벌 명품 시장은 올해 기존 5% 성장 전망에서 2% 역성장으로 수정되었다...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6. 23:22

6월초, 6일간 휴가 가볼까? 윤 전대통령이 준 선물..

✈️ 갑자기 생긴 황금연휴, 나는 어디로 갈까?사실 올해 6월은 그냥 그런 평범한 달로 기억될 뻔했다.하지만 대통령 탄핵이라는 예상 밖의 정국 전환과 함께 조기 대선 일정이 확정되자, 달력이 달라 보이기 시작했다.6월 3일 대선일을 기준으로 하루 연차만 쓰면 4일 연휴, 이틀만 더 내면 무려 6일 황금연휴.이쯤 되면 머릿속에 자동으로 여행지가 떠오른다.“한 번쯤은 떠나야 하지 않을까?”그 생각을 한 사람이 나만은 아니었고,여행업계는 이미 들썩이고 있었다.🗳️ 조기대선이 만든 6월 연휴, 그리고 폭발하는 여행 수요2025년 6월 3일, 조기 대통령 선거가 확정되자 여행업계와 소비 시장이 즉각 반응했다.6월 1일(일)부터 4일(수)까지 나흘 연휴, 여기에 현충일(6일)과 그 주말까지 연장하면최장 6일 간의..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6. 19:11

[경제공부] 다이소 연매출 4조원 육박??? 티끌모아 태산이네..

🛍️ 그냥 몇 개 집었을 뿐인데…“에이 이 정도면 하나쯤…”다이소에서 가장 자주 하는 생각이다. 나는 다이소에 갈 때마다 계획에 없던 물건들을 한두 개씩—아니 솔직히 서너 개씩—계산대에 올려놓고 만다.클립 하나, 정리함 하나, 계절 한정 귀여운 소품까지.단가가 낮아 부담도 적고, 한두 개쯤은 괜찮겠지 했는데 계산해 보면 은근히 나오는 액수.그런데 그런 구매들이 모여 다이소의 연매출이 4조 원에 육박했다고 한다.물가가 오를수록 ‘합리적 소비’에 더 끌리는 건 나만이 아니었나 보다.📈 2024년 다이소, 실적이 증명한 ‘가성비의 힘’2025년 4월 14일 발표된 아성다이소의 실적에 따르면,2024년 한 해 동안의 매출은 3조968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영업이익은 3711억 원, 전년보..

직장인의 경제공부 2025. 4. 16. 15:0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TISTORY
경제서생의 경제견문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